본문 바로가기

건강요리법

초석잠 장아찌, 초석잠 팝콘, 초석잠주, 함초 천연 저염 조미료, 함초밥 만들기

초석잠 장아찌

1. 냄비에 물, 식초, 설탕을 1:1:1 로 넣습니다. 

 

2. 간장은 0.5 비율로 넣고 소금으로 간을 더합니다. 

 

3. 센 불에서 5분 정도 팔팔 끓인 식촛물을 뜨거울 때 초석잠에 붓습니다. 

식촛물은 뜨거울 때 부어야 아삭한 식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4. 3~4 시간 상온에 두었다가 냉장고에 넣고 먹습니다. 

간장을 빼고 소금만 넣고 피클로 만들어 햄버거나 샌드위치에 넣어서 먹으면 맛있습니다. 

 

치매 잡는 두뇌영양제 초석잠

 

초석잠 팝콘

1. 말린 초석잠을 프라이팬에 넣고 덖으면 팝콘처럼 부풀어 오릅니다. 

 

2. 볶은 초석잠을 식혀서 먹고 바로 먹으면 눅진거리며 식혀야 바삭해집니다. 

 

초석잠주

초석잠이 여러 성분이 빠져나오도록 30도의 담금주로 담급니다. 

소주잔 반 잔 정도의 초석잠주를 아침 저녁으로 먹으면 뇌졸중 예방과 혈액순환에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함초 천연 저염 조미료

1. 깨끗이 씻어 말린 함초를 잘라 믹서에 넣습니다. 

 

2. 맛을 가미하기 위해 다시마와 머리와 내장을 떼낸 멸치를 믹서에 넣고 갑니다. 

생함초를 녹즙기로 즙을 내서 요리에 넣으면 맛이 깔끔합니다. 

 

함초밥

함초밥은 미네랄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함초를 간접적으로 섭취하는 방법입니다. 

4인 기준으로 3~4g 의 함초를 넣고 밥을 합니다. 

 

함초밥은 일반 밥보다 쫀득하고 식어도 색이 변하지 않습니다. 

습한 여름에 나는 쌀 냄새도 함초를 넣으면 싹 사라집니다. 

 

생함초로 만드는 발효액

1. 생함초를 깨끗이 씻어 말립니다. 

 

2. 함초와 흑설탕을 400g씩 넣어 버무립니다. 

단맛이 싫으면 설탕을 덜 넣어도 됩니다. 

 

3. 설탕이 녹으면서 삼투압 현상이 일어나면 밀폐용기에 넣습니다. 

 

4. 25~28도의 상온에서 보관하고 10~13개월이면 숙성됩니다. 

 

함초김치

함초는 나트륨을 적게 함유하고 있어 삼투압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함초만으로 김치를 절이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절일 때는 천일염을 쓰고 간을 맞출 때 함초를 사용합니다. 

 

액젓을 적게 넣는 대신 함초 분말을 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김치가 쉬는 속도가 늦춰지는데 이는 함초의 칼슘과 칼륨이 쉬는 속도를 막아 주기 때문입니다. 

 

김치 양념을 만들 때 함초 분말을 고춧가루 중량의 5% 정도 넣어줍니다. 

예를 들어 고춧가루 50g 을 사용했다면 함초 분말은 2.5g 을 넣어서 김칫소를 만듭니다. 

 

여기에 함초 발효액도 약간 넣어 주면 좋은데요. 

단, 함초 분말을 너무 많이 넣으면 김치색이 변하니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