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뿌리채소

(3)
좋은 우엉 고르는 법과 우엉팩 만들기, 효능 우엉은 영양가는 그리 높지 않지만 약성이 강한 식재료입니다. '동의보감'에 얼굴이 붓는 증상과 소갈, 열증을 치료한다고 나와 있고 '본초강목'에는 몸이 허한 증상을 방지하고 오랫동안 먹으면 몸을 가볍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우엉을 먹으면 기운이 난다고 해서 방중술을 하는 사람들은 우엉을 대력이라고 불렀는데요. 산삼과 성분이 비슷하면서 가격이 저렴해 매일 반찬으로 먹기 좋은 뿌리채소의 왕입니다.   필수 아미노산인 아르기닌 성분이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생리불순이나 생리통을 해결해줍니다. 또한 폐경기에 생리를 다시 원활하게 만들어 주기도 하는데요.  껍질에 많이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이 항균 작용을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줍니다. 풍부한 식이섬유가 장을 자극해서 배변을 촉진시키고 다이어트에 ..
천연 보약 순무와 땅속의 장어 둥근마 순무보랏빛 팽이처럼 생긴 순무는 강화도와 김포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는 토종 작물입니다. 순무 중에서도 강화도 순무가 특히 유명한데요.  청정 지역인 강화의 좋은 토양과 깨끗한 물, 풍부한 햇빛, 사방에서 불어오는 해풍 덕분입니다. 강화도에서는 봄과 가을, 두 번 순무를 재배하는데요.  이 중에서 더 단단하고 겨울을 나기 위한 영양분이 집약된 가을 순무를 으뜸으로 칩니다. 순무는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되어 재배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고려시대 한의서 '향약구급방'에 만청 또는 무청으로 기록되어 있고 '동의보감'에도 "그 맛이 달고 오장에 이로우며 소화를 돕고 종기를 치료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하고 황달을 치료하며 갈증을 해소시켜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원래 토종 순무는 흰색이었지만 외국종과..
수련과에 속하는 자연치유의 연 연은 수련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물풀로 7~8월에 지름이 20cm 정도 되는 큰 꽃을 피웁니다. 진흙탕에서도 아름답게 피어나는 연꽃은 보통 고결함의 상징으로 여겨지는데요. 예부터 연꽃을 비롯해 연근, 연잎, 연꽃의 씨앗인 연자육 등 연의 모든 부분이 식재료와 약재로 쓰여왔습니다. 그중에서도 연의 뿌리인 연근은 우엉과 함께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대표적인 뿌리채소인데요. '동의보감'에 연근을 생으로 갈아 만든 우즙을 먹었다는 기록이 나와 있습니다. 또한 연근은 코피날 때 지혈을 해주고 가슴이 답답할 때 혈액순환을 촉진해 풀어준다고 기록되어 있는데요. 끈적끈적한 성분인 뮤신은 단백질의 흡수를 촉진하고 위벽을 보호하며 장내 윤활제 역할을 합니다. 비타민C와 비타민B군이 풍분하고, 연근 속 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