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무
보랏빛 팽이처럼 생긴 순무는 강화도와 김포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는 토종 작물입니다.
순무 중에서도 강화도 순무가 특히 유명한데요.
청정 지역인 강화의 좋은 토양과 깨끗한 물, 풍부한 햇빛, 사방에서 불어오는 해풍 덕분입니다.
강화도에서는 봄과 가을, 두 번 순무를 재배하는데요.
이 중에서 더 단단하고 겨울을 나기 위한 영양분이 집약된 가을 순무를 으뜸으로 칩니다.
순무는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되어 재배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고려시대 한의서 '향약구급방'에 만청 또는 무청으로 기록되어 있고 '동의보감'에도 "그 맛이 달고 오장에 이로우며 소화를 돕고 종기를 치료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하고 황달을 치료하며 갈증을 해소시켜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원래 토종 순무는 흰색이었지만 외국종과 개량되면서 보라색을 띠게 되었는데요.
순무의 보랏빛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이라는 성분은 항산화 효과가 있어 노화를 늦춰 줍니다.
일반 무보다 순무에 더 풍부하게 함유된 카탈라아제라는 효소는 음식물을 소화한 다음 생기는 과산화수소 같은 독성 물질을 가수분해해서 소화 작용을 돕습니다.
강력한 항암 작용을 하는 글루코사놀레이트라는 성분은 간암이나 방광암 예방에 좋습니다.
매콤한 맛을 내는 겨자유, 인돌 같은 유황화합물 성분도 항암 작용을 합니다.
순무는 공기가 통하는 곳에 오래 두면 바람이 들기 때문에 봉지에 넣고 밀봉해서 온도가 -3~1도 정도 되는 곳, 즉 김치냉장고에 넣어 두면 일 년 내내 싱싱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순무는 일반 무보다 저장성이 훨씬 좋고 추위에도 강해서 꽁꽁 언 순무를 상온에 두면 정상적인 순무로 되돌아옵니다.
'동의보감'에는 '순무를 땅에 묻어 놓으면 겨울이 지나도 얼어 죽지 않고 봄이 되면 싹이 새로 난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참, 콜라비는 양배추와 순무를 교배한 것으로 콜(양배추)와 라비(순무)의 합성어로서 원산지는 북유럽 해안지방입니다.
둥근마
마의 종류는 약 650여 가지나 될 정도로 정말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길이가 긴 '장마'와 '산마'라고도 불리는 '참마', 둥글게 생긴 '둥근마' 등이 있는데요.
마에는 뮤신이라는 끈적한 단백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마 중에서도 둥근마는 다른 마보다 2.7~3배가 많은 뮤신을 함유하고 있어 최고의 마로 꼽힙니다.
또한 둥근마는 단백질, 탄수화물, 사포닌, 아미노산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고 당분을 13.6%나 함유하고 있어 다른 마에 비해 단맛이 강한데요.
우리나라에서 마 재배지로 유명한 곳 중 하나는 전북 정읍입니다.
북방과 남방의 한계선에 위치해 둥근마가 자라기에 최적의 기후고 황토밭이 많아 맛 좋은 둥근마를 재배할 수 있는데요.
뮤신 성분은 소화기관의 점막을 보호해주는 윤활제 역할을 하고 기력 회복과 피로 회복에 좋습니다.
뮤신 성분은 피부에 보습 작용을 해서 화장품의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마의 아밀라아제는 소화 불량에 효과적이고 몸속에서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작용을 해서 대장암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뮤신이 손에 닿으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가려울 수도 있으니 반드시 장갑을 끼고 손질해야 합니다.
만약 손이 가려울 경우에는 우엉 달인 물로 씻으면 진정시킬 수 있는데요.
둥근마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13~15도의 서늘한 곳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추위에 약해 냉장고에 보관하면 안되고 3월까지는 실내 보관이 가능하며 그 이후에는 싹이 날 수 있으니 밖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오래 보관하기 어려우니 가급적 빨리 먹는 것이 좋습니다.
마를 칼로 자르면 쉽게 산화되어 색이 검게 변하기 때문에 바로 조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를 깍둑 썰어 냉동실에 보관하면 좀 더 오래 두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천마는 장마나 둥근마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아예 다른 품종으로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뿌리채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우엉 고르는 법과 우엉팩 만들기, 효능 (3) | 2025.02.17 |
---|---|
수련과에 속하는 자연치유의 연 (0) | 2025.02.16 |